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파스-타(PaaS-TA) 전문가 9차 교육
교육 받으면서 핵심 내용으로 정리 해봤습니다.
- 클라우드 컴퓨팅
네트워크 기반의 컴퓨팅기술
컴퓨팅 리소스를 데이터센터에 대량으로 집적시킨 후, 개별 이용자가 요구하는 만큼 가상으로 분리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
사용량에 비례하여 비용 청구
>> 특징
주문형 셀프 서비스 : 사업자와 직접 상호 작용하지 않고, 사용자의 개별 관리화면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
광범위한 네트워크 접속 :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
리소스 공유 :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형태로 이용
신속한 확장성 : 스케얼업(처리능력을 높이는 것)과 스케일 다운(처리 능력을 낮추는 것) 가능
측정 가능한 서비스 : 이용한 만큼 요금이 부가되는 종량제
- Cloud 유용성
경제성, 유연성, 가용성, 빠른 구축 속도
- Model별 관리 범위와 예시
- IaaS, PaaS, SaaS 개념
IaaS : CPU나 하드웨어 등의 컴퓨팅 리소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
PaaS : 기업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을 서비스로써 제공하는 모델
SaaS : 주로 업무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만큼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형태
- PaaS 동작원리
배포 명령 실행 > Diego 컨테이너 생성 > Application 코드 배치 > 적합한 Buildpack 찾기 > 컴파일 진행
> Droplet Archive (Application이 동작할 수 있는 부가 요소를 모두 갖춘 형태) > Blobstore에 저장 >
Application Instance가 실행될 새로운 컨테이너 생성 요청 > release 스크립트 실행 > Application 동작